알파고

日記 2016. 3. 12. 04:04

컴퓨터가 바둑을 잘 두기 위해서는 체스를 잘 두는 것보다 높은 단계의 인공지능이 필요한 것은 가능한 수가 많기 때문이 아니라 열린 가능성 때문이다. 물론 행마의 경우의 수가 체스나 장기보다 바둑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바둑의 비정형성을 알고리듬화 하는 것이 사실은 더 어려운 것이다. 바둑을 관전할 때 흔히 듯는 '맛'을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기는 어렵다. 이렇듯 정량화하여 구분하기 곤란한 패턴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예가 'SpamAssassin'과 같은 스팸 필터링 프로그램이다.

SpamAssassin의 기본적 아이디어는 19세기에 개발된 것이다. 이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해서 적용하는 데 필요한 것은 충분히 빠른 컴퓨터와 성공적인 스팸 인식의 확률을 높일 수 있는데 필요한 충분한 양의 데이터이고 이 두가지 모두 충분하다 못해 넘쳐나고 있다. 스팸인식에 필요한 것은 컴퓨터가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단어이지만 바둑 기보의 인식은 그것 보다 복잡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일단 기보와 바둑을 두는 algorithm만 정립되면 바둑을 잘 두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최근의 클라우드 컴퓨팅(혹은 병렬처리)의 폭발적인 발전은 그 시간문제를 훨씬 단축할 수 있었던 계기였을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이세돌 9단의 2패에 대한 우리의 반응이다. 서두에 말한 것 처럼 시대를 풍미했던 바둑 기사들이 상상하기 어려운 훨씬 많은 수를 머리 속에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기 때문만에 바둑의 천재로 여겨졌던 것은 아닐 것이다. 그들의 천재성은 흔한 패턴에서 벗어난 창조적인 (또는 새로운) 수와 판을 읽는 직관이 여기에 더해져 나타난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알파고의 기존의패턴과 다른 수들에 사람들이 놀라는 것이라 여겨진다. 우리의 알파고에 대한 반응이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반응들을 살펴보면서 사람의 인식과 지능이 어디에서 오는 가를 다시 생각해보기 때문이다. 어떤 패턴을 인지하고 구별해 내는 것이 지능의 일부라 판단하고 알파고 혹은 인공지능이 생각보다 사람에 가까워 졌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뒤집어 말하면 사람이 그러한 지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영혼에서 오는 것이라 생각하기도 하지만 혹자의 생각처럼 우리 두뇌도 엄청난 용량의 컴퓨터에 불과한 것이라는 생각의 근거일 수도 있다. 전자가 사실이라면 컴퓨터의 연산능력이 아무리 커져도 인공지능이 진정한 지능을 가질 수는 없을 것이고 후자가 사실이라면 정말 인공의 인격체를 마주할 날이 머지 않았다. 감정이라는 것이 자극에 대한 반응의 패턴에 불과하다면 인공지능이 감정을 갖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문제는 우리가 우리(사람 혹은 인류) 자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가장 시급히 극복해야할 문제이다. '너 자신을 알라'는 경구가 새삼스럽게 다가온다.


Posted by lenient7
,

행복하자

日記 2016. 2. 10. 11:21

그냥 행복하면 될 일인데, 사람의 마음이 그렇지 못하기에
행복하지 않은 마음의 원인을 살펴보자.

육체적으로는;
태어나서, 늙어가며, 아프고, 죽는 것을 걱정하고 고민한다.
사람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왜 아프고 늙어야 하는지.
왜 태어나서 고생인지 모르겠고, 늙기도 싫고, 아픈 것도 싫고, 죽기도 싫다. 헐.

정신적으로는;
좋아하는 사람과는 언젠가는 헤어지게 되고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처럼),
미워하는 사람과도 지내야 하며,갖거나 이루고자 하는 일도 늘 마음대로 아니되고,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여
주변의 사물과 사건에 대한 느낌, 생각과 판단, 선택과 행동을 기준으로
다른 사람이 옳거나 그르다는 분별을 계속하니
결국 자신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세상 만사가 괴롭다.

혹 지금 행복하지 않다면 그 근원을 살펴보면 이 8가지에서 비롯됨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이 8가지가 바로 8苦이다.
그걸 아는 게 행복해지는 데 무슨 도움이 되나?
자세히 살펴보면 이 8가지는 사람이 (왜 그랬는지 모르지만)
행복하기 위한 조건이라 말하는 것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아예 세상에 나질 말던가, 안 늙고, 안 아프고, 안 죽고,
사랑하는 사람과 늘 함께하고 미운 사람과는 상종하지 않으며
내가 원하는 데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며, 세상 만사는 다 내가 생각하는게 맞는 거.
그럼 내가 당장 행복하겠지. 그럼 내 옆사람은? 그리고 천년 만년 살고 있으면 정말 계속 좋을까?

곰곰히 생각해보면 이 8가지도 사람이 '그랬으면~'하는 생각이 있어 좋아 보일 뿐이지,
원하는 대로 된다 해도 지속적으로 사람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되기를 원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에 대한 헛된 바람일 뿐이다.
게다가, 좀 더 곰곰히 생각해보면, 이러한 바람은 절대적인 행복의 조건도 아니다.
답은 간단하다. 그냥 행복하려면 그런 바람을 가지지 않으면 된다.

머리로는 알아도 마음에서 생기는 그 바람을 놓기는 어렵다.
평생을 그런 바람이 행복을 성취하는 길이라고 생각해 왔기 때문에
마음은 잠재의식에 각인된 습관에 따라 그런 것들에 대한 바람을 놓지 않는다.
그래서 머리로 깨우쳐도 계속해서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 것이다.

그 깨우침의 감동이 커 마음의 습관도 바로 고쳐지는 수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스멀스멀 나태한 마음이 다시 돌아가게 마련이라,
그냥 행복하기를 마음을 다스리는 것(수행)을 통해 계속 다잡아야 하는 것이다.

Posted by lenient7
,

子曰: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弟子
모름지기 사람은

入則孝
(집에) 들어와서는 효도하고

出則弟
(집 밖에) 나서서는 (나대지 말고) 공손하며

謹而信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여 믿음이 가도록 하고

汎愛眾
(모든) 사람을 두루 사랑하여

而親仁。
仁과 가깝도록 해야한다. 

仁이란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모두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며 존중하는 자세이다.
나와 남이, 또 나와 자연이 별개가 아닌 촘촘히 연결되어 있음을 알고,
자신을, 또 남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다.
仁은 깨달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실천하는 삶의 태도이다.
그래서 (끊임없이 노력하며) 仁에 가깝게 하루 또 하루 살아가라는 말씀이다.
그 것이 곧 내가 행복하고 또 내 주변의 사람들이 행복하게 사는 길이다.

行有餘力,則以學文。
그러고도 힘이 남으면 배움(지식을 익힘)에 힘써라.

지식이 제일 중요한 것이 아니란다.
마음이 행복해지면 익벼볼만한 것일 뿐.

Posted by lenient7
,